[한중영일] '미끄럼주의'의 한국어,중국어,영어,일본어 차이

반응형

 

 

[한중영일] '미끄럼주의'의 한국어,중국어,영어,일본어 차이

 

한국어Korean: 미끄럼주의

중국어Chinese: 小心地滑

영어English: caution wet floor

일본어Japanese: 足元にご注意

 

 

[한국, 중국, 일본은 같은 한자권이지만 의미가 다르다]

 

아무래도 한국, 중국, 일본이

한자를 사용하는 언어권이다보니

한자 비교를 안 할 수가 없는데

 

미끄럼주의, caution wet floor, 足元にご注意

중국어Chinese로 小心地이라고 한다.

 

의미를 잘게 나누면 아래와 같다.

 

(Chinese) 小心 =

(Korean) 조심하라, 주의하라 / (Japanese) 注意してください、気を付けてください / (English) caution

 

(Chinese) 地滑 =

(Korean) 바닥이 미끄러우니 / (Japanese) 地面が滑るので / (English) wet floor

 

하지만 한자만으로 봤을 때

 

小心은 

한국Korea에서는 소심하다,

일본Japan에서는 気が小さい라는 뜻이며

 

地滑은 

국Korea에서는 쓰지 않는 단어이며*

(*굳이 쓴다면 '땅밀림'이라는 해석이

영한사전에 등록되어있기는 하더라.

하지만 익숙하지 않은 단어다.)

 

일본어Japan에서는 地滑り라는 단어가 있기는 한데

이는 바닥이 미끄럽다는 뜻이 아니라

'산사태(landslide;avalanche)'라는 뜻이다.

 

산사태/landslide;avalanche/地滑り

중국어Chinese로 山崩라 한다.

 

일본Japan에서도 말을 풀어서

'山が崩れた'라고 하기도 한다.

 

같은 한자 언어권이라도

한자 단어의 의미가 다른 것이다.

 

물론 모든 한자 단어가 그렇다는 것은 아니다.

같은 단어도 있고, 다른 단어도 있다.

 

한국어Korean 중국어Chinese 일본어Japanese 영어English
미끄럼주의 小心地滑 足元にご注意 caution wet floor
조심하라, 주의하라  小心, 注意 ... 注意してください、気を付けてください caution ...
바닥이 미끄러우니 地滑 地面が滑るので  wet floor
소심하다  畏首畏尾, 胆小, 谨小慎微 ... 気が小さい timid ...
산사태 山崩 地滑り, 山が崩れる landslide; avalanche

 

▼다른 글

 

2020/07/21 - [외국어 비교/한중영일 언어 비교] - [한중일] 중국어로 출세는 '出世'가 아니다.

2020/08/08 - [외국어 비교/한중영일 언어 비교] - [한중일] 중국어로 '看病'은 간병하다는 뜻이 아니다.

2020/08/09 - [외국어 비교/한중영일 언어 비교] - [한중영일] '알려주다, 말하다'의 한국어, 중국어, 영어, 일본어의 차이 -중국어로 告訴?

2020/08/12 - [외국어 비교/한중영일 언어 비교] - [한중일] 중국어로 '각오하다'는 覚悟가 아니다.

반응형

댓글()